더 잘 사는 웰빙넷

k-생활사

조선시대 궁중에서 우유를 짰어요.

바짝이 2024. 4. 18. 12:00
728x90
반응형

현대에 우유는 보편적인 음식이 되었습니다.

우유가 들어가는 각종 음식들이 즐비하지요. 

 

그러나 1960년대만 해도

우유는 귀한 음식이었고,

학교 급식으로 우유를 먹는 아이들은

부유한 집 아이들이라고 생각했던 시절도 있었습니다. 

 

그리고 우유를 소화시킬 수 있는 소화력이 없어서

우유만 마시면 화장실을 들락거리는 경우도 많았지요. 

 

그런데 궁중에서 우유를 짰다? 

아래의 그림을 보면 짐작할 수 있습니다. 

채유/ 공유마당, 한국저작권위원회 그림 인용/ 조영석, 지본수목 조동제 소장(출처:김원룡엮음, 한국의미-풍속화, 중앙일보사,1992)/ 소젖 짜는 내의원 의관들 갓쓰고 도포입고 가죽신 신은 다섯 사람이 우유를 짜고 있다.

 

 

빙허각 이씨의 [규합총서]에 보면,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. 

쌀을 담가다가 무리(물에 불린 쌀을 맷돌에 갈아 체에 받치어 가라앉힌 앙금)를 정갈하게 갈아 밭치고, 생우유가 한 사발이면 무리는 조금 적게 하되, 묽고 되기는 잣죽 무리 심만틈하여, 먼저 쑤다가 반만 익으려 하거든 우유를 부어 화합하여 쑤나니, 이것이 내국의 타락법이니라. 

 

타락죽을 만드는 방법에서

내국(內局)이란 곳에서 만든다고 한것을 보면

곧 내의원을 말한다. 

 

그림 속의 사람들은 내의원일 가능성이 높다. 

그림의 작자는 숙종 영조 연간에 생존했던

사대부 화가 조영석이다. 

 

영조가 즐겨 먹었던 음식 중 하나가 타락죽이다.

 

1900년대에 들어오면서 우유에 대한 신비감이 조장되었다.

목장을 직접 운영하는 '한국축산주식회사'가 

'신선우유'를 광고했다. 

 

서양위주의 근대화가 몰아닥치면서

우유는 '보약'보다 더 좋은 것으로 회자되었다.

 

우유가 보양이 되는 것은 맞다.

그러나

모유보다 우유가 더 좋다는 착각도 존재했다. 

모유대신 분유가 아이들을 키우는 것을

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세상이 되는 것까지....

 

우리의 생활사 속에는 이렇듯 

그 변천을 보면, 

우리의 일상이 어떻게 수용되고 변화되었는지

어떤 과정을 거쳤는지

알 수 있게 된다. 

 


 

 

728x90
반응형